ESS 관련주 17가지 완벽 정리, 시장 동향

ESS 관련주 17가지 완벽 정리, 시장 동향, Hush

ESS 시장 동향

ESS(에너지저장장치) 관련주들이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배터리 가격 하락과 관련 기술 발전에 힘입어 ESS 설치량이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나타난 현상입니다.

SK이터닉스, 서진시스템, 피엔티 등 ESS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특히 SK이터닉스는 9% 이상의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ESS가 투자 매력이 가장 크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의 특성상 전력 수요와 공급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ESS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가격 하락과 기술 발전으로 인해 ESS 설치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ESS 시장은 2022년 152억 달러에서 2030년 395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전 세계 ESS 신규 설치 규모는 작년 45GW에서 올해 57GW로 늘어날 전망이며, 2030년 기준 글로벌 ESS 누적 설치량은 500GW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2년 대비 10배 이상 늘어난 규모입니다.

ESS 관련주로는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대기업부터 삼진엘앤디, 신성이엔지, 피엔티, 서진시스템, 효성중공업 등 중소기업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ESS 배터리 생산, 부품 제조,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향후 ESS 시장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과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시장 상황과 개별 기업의 경쟁력에 따라 실적과 주가 움직임은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업명 ESS 관련주 선정 이유
LG화학 - ESS용 리튬이온전지 생산 및 판매
- 미국 애리조나에 16GWh 규모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 설립 계획 발표
삼성SDI - 에너지솔루션 사업부에서 ESS 사업 영위
- 주택용 kWh급부터 산업용 MWh급까지 다양한 2차전지 시스템 생산 및 판매
- 미국 넥스트에라에너지에 1조 원 규모 ESS 배터리 수주
SK이노베이션 - 친환경 전기자동차 및 ESS용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및 판매
- 고에너지 밀도, 고출력 기술 보유
LS ELECTRIC - 태양광 모듈 및 인버터 판매, 시스템 구축 위한 EPC 사업
- ESS 관련 전력변환기(PCS) 생산, 시스템 구축 위한 EPC 사업 실시
효성중공업 - ESS 시스템 공급, 유지 보수, 구축 컨설팅 사업 수행
- BNEF 선정 '에너지 스토리지 티어 1' 등재
포스코DX - ESS 핵심 기술인 전력조절시스템(PSC) 기반 ESS 구축 및 스마트그리드 운영 수주 이력
- 전남 신안군 팔금도에 ESS 적용한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사업 참여
세방전지 - 소형(1~3kW)부터 중형(50kW 급) ESS 개발
- 전기차 충전기용(300kW 급) ESS 개발 성공
삼화콘덴서 - LTO 복합 소재 적용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삼화전기 - LTO 복합 소재 적용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 전기이중층커패시터(그린캡) 활용 계획
피엔티 - ESS 등 중대형 이차전지 분리막, 음극재, 양극재 소재 생산 장비 제조 및 공급
비츠로셀 - 리튬일차전지 전문 기업, 스마트미터 등 ESS 관련 장비에 배터리 사용
- 리튬 직접 추출(DLE) 기술 개발 등 ESS 관련 신사업 추진
신성이엔지 -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 설치 사업 영위
- 재생에너지 사업 일환으로 ESS 설치 및 시공 사업 진행
유니테크노 - 삼성SDI에 ESS 셀 케이스 공급
- 연간 약 60억 원 규모 수주 확보
그리드위즈 - ESS 설치 및 운영 사업 영위
- ESS를 다양한 분산에너지 자원과 융합
- ESS 운영 솔루션 제공
한중엔시에스 - ESS 수냉식 냉각 시스템 핵심 기술 보유
- 삼성SDI 차세대 ESS 모델 SBB2에 수냉식 냉각 시스템 공급 확정
SK이터닉스 - 국내 No.1 ESS 사업자, 국내 시장 점유율 20%
- 미국 ESS 시장 진출, 전력 Trading 분야로 사업 확장
서진시스템 - ESS 주요 부품 및 구동 장비 공급
- 글로벌 고객사에 OEM 방식으로 ESS 장비 제공

1. LG화학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LG화학은 ESS(에너지저장장치) 산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이유로는 ESS용 리튬이온전지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미국 최대 신재생 ESS 전시회에 참가하여 애리조나에 16GWh 규모의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을 설립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현지 공급 체계를 갖출 예정입니다.

회사 개요

LG화학은 1947년 창립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화학기업입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석유화학, 첨단소재, 생명과학 사업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Global Top 5 화학회사'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석유화학: 기초유분, 모노머, 폴리머 등 제품 생산
  • 첨단소재: 배터리 소재, 정보전자소재, IT 소재 등
  • 생명과학: 의약품 개발 및 생산
  • 에너지 솔루션: ESS용 배터리 생산 (LG에너지솔루션 분사 후 협력)

재무 정보

2023년 기준 LG화학의 매출액은 약 55조2498억원, 영업이익은 2조529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17조1892억원 수준입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GM, 테슬라, 스텔란티스 등 북미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포스코와도 탄소감축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애리조나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 설립 (2026년 양산 목표)
  • 메탄건식개질(DRM) 기술을 활용한 CCU(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프로젝트
  • AI 기반 신약 개발 프로젝트 (LG AI연구원, 갤럭스와 협력)

향후 전망

LG화학은 미국 등 주요 권역의 신규 프로젝트를 통해 중장기적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시장에 초점을 맞춰 신규 수주 및 외판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2026년부터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AI 기술을 활용한 신약 개발 등 새로운 분야로의 확장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삼성SDI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삼성SDI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에서 ESS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택용 kWh급부터 산업용 MWh급까지 다양한 용량과 규격의 2차전지 시스템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1조 원 규모의 ESS 배터리를 미국 최대 전력회사인 넥스트에라에너지에 수주하는 등 ESS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삼성SDI는 1970년 설립된 삼성그룹의 전자 계열사로,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해 있습니다. 초기에는 브라운관, PDP, AMOLED 등 디스플레이 제품 생산을 주력으로 하다가 2000년 리튬이온 2차전지 사업에 진출하며 사업을 다각화했습니다.

주요 사업

  • 에너지솔루션 사업: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전기차 배터리, ESS 등)
  • 전자재료 사업: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재무 정보

2024년 3분기 기준:

  • 매출: 3조 9,356억 원
  • 영업이익: 1,299억 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자동차 업체: BMW,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GM 등
  • 전력 회사: 넥스트에라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전고체 배터리 개발: 수천억 원 규모의 R&D 투자
  • 고체 전해질 소재 개발
  •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양산 계획 (2025년 초 예정)

향후 전망

삼성SDI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ESS 시장에서의 강세를 바탕으로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진 중이며, 전고체 배터리 등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 선도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전방 산업 수요 둔화 등의 영향으로 실적 개선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3. SK이노베이션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SK이노베이션은 친환경 전기자동차 및 ESS에 사용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고유의 고에너지 밀도와 고출력 기술을 바탕으로 ESS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선정되었습니다.

회사 개요

SK이노베이션은 SK그룹 계열의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입니다. 2007년 SK주식회사에서 인적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사업 구조조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주요 사업

  • 석유 사업: 정유 및 석유 제품 생산
  • 화학 사업: 화학 제품 생산
  • 윤활유 사업: 자동차용 윤활유 및 산업용 윤활유 생산
  • 배터리 사업: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 생산
  • 소재 사업: 리튬이온배터리 분리막(LiBS) 생산
  • 석유개발 사업: 해외 유전 개발 및 생산

재무 정보

2024년 3분기 기준 SK이노베이션의 주요 재무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 17조 6,000억원
  • 영업이익: 7,260억원
  • 당기순이익: 3,200억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 주요 고객사로는 BMW, 폭스바겐, 다임러, 볼보, 현대기아차 등이 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전고체 배터리 개발: 미국 솔리드파워와 협력하여 고에너지 밀도 전고체 배터리 개발 중
  • 도시유전 프로젝트: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통한 석유화학 원료 생산 기술 개발
  • 스마트플랜트 2.0: AI/DT 기술을 접목한 생산 현장 효율화 프로젝트

향후 전망

SK이노베이션은 SK E&S와의 합병을 통해 아태지역 최대 민간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배터리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 사업 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EBITDA 20조원 이상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2027년까지 자기자본이익률(ROE) 10% 및 주주환원율 35% 이상 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4. LS ELECTRIC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LS ELECTRIC은 ESS 시장에서 전력 품질을 유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관련된 태양광 모듈 및 인버터 판매, 시스템 구축을 위한 EPC 사업, 에너지저장장치(ESS)에 관련된 전력변환기(PCS) 생산, 시스템 구축을 위한 EPC 사업을 실시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선정되었습니다.

회사 개요

LS ELECTRIC은 1974년 금성계전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사명 변경을 거쳐 2020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전력공급과 계통보호, 산업자동화, 스마트그리드 등의 사업을 통해 국가 기간산업 전력망과 산업자동화 구축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전력사업: 전력기기, 시스템 사업, 전력IT 사업, 신재생에너지 사업
  • 자동화사업: PLC, 인버터, 산업자동화 기기 및 시스템 제품 생산
  • 스마트 에너지 사업: 스마트그리드, 태양광, HVDC, ESS 등

재무 정보

2024년 예상 실적:

  • 매출액: 4.4조원 (전년대비 +3.3%)
  • 영업이익: 전년대비 18.5% 증가
  • 당기순이익: 2516억원 (전년대비 +19.6%)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마이크로소프트(MS): 스마트팩토리, 에너지 기반 신사업 공동 개발 및 기술 검증을 위한 MOU 체결
  • 동우전기, KESCO, 나인와트, 플러그링크, 리스케일 등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력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개발: AI,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자율형 공장 솔루션
  • ESS 시스템 구축: 전력변환기(PCS) 생산 및 시스템 EPC 사업
  • 청주사업장: 세계등대공장으로 선정, MS와 협력하여 생산라인 검사 고도화 및 소음 분석 고도화 진행

향후 전망

LS ELECTRIC은 2030년까지의 수주잔고를 확보하고 있으며, 수익성 중심의 선별 수주를 통해 성장 모멘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변압기 시장 진출 확대와 함께 저압 배전기기 시장으로의 진출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팩토리와 에너지 효율화 솔루션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5. 효성중공업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효성중공업은 ESS 사업을 통해 시스템 공급부터 유지 보수, 구축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ESS 분야에서 글로벌 리서치사 BNEF가 선정하는 '에너지 스토리지 티어 1'에 등재되어 최우수 ESS 업체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효성중공업은 1962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중공업 기업으로, 2018년 (주)효성에서 중공업 및 건설 사업 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되었습니다. 변압기 제조업과 건설업을 주요 업종으로 하며, 친환경 전력설비, 전력망 안정화 솔루션, 수소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디지털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전력 솔루션: 초고압변압기, 차단기, 전력IT 솔루션 등
  • 기전 솔루션: 전동기, 발전기, 산업기계 시스템 등
  • 건설 사업: 주택, 건축, 토목, 산업플랜트 등
  • 신재생에너지: ESS, STATCOM, HVDC 등

재무 정보

  • 매출액: 4.3조원 (2023년 12월 기준)
  • 당기순이익: 1,319.2억원 (2023년 12월 기준)
  • 자산총계: 4.76조원 (2023년 12월 기준)
  • 임직원 수: 3,266명 (2023년 12월 기준)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영국 다우닝(Downing)사
  • 노르웨이 국영 송전청
  • 호주 전력 회사
  • 미국 전력 회사들
  • 아프리카 모잠비크 국영 전력회사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영국 사우샘프턴 지역 50MW급 대용량 ESS 공급 계약 체결
  • 200MW급 전압형 HVDC(초고압직류송전) 기술 개발 성공
  • 노르웨이 국영 송전청과 3300억원 규모의 420kV 초고압변압기 공급 계약 체결
  • 아프리카 모잠비크 국영 전력회사와 428억원 규모 전력망 강화 사업 계약 체결

향후 전망

효성중공업은 전력기기 시장의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ESS, HVDC 등 친환경 시대에 부합하는 신사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토탈 전력 솔루션 업체로의 도약이 기대됩니다. 또한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의 수주 호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6. 포스코DX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포스코DX는 ESS의 핵심 기술인 전력조절시스템(PSC)을 바탕으로 ESS를 구축하고 스마트그리드를 운영한 수주 이력이 부각되어 ESS 관련주로 선정되었습니다. 특히 전남 신안군 팔금도에 ESS와 관련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한 독립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사업에 참여한 바 있습니다.

회사 개요

포스코DX는 1989년 11월 15일에 설립되어 2000년 11월 2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IT와 OT 융합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철강 분야를 주력으로 하여 건설, 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ICT 솔루션을 기반으로 스마트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스마트 팩토리 구축
  • IT 서비스 제공
  • EIC 엔지니어링
  • 산업용 로봇 적용
  •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 ESS 및 스마트그리드 구축

재무 정보

2023년 6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4.7% 증가, 영업이익은 98.2% 증가, 당기순이익은 98.2%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매출 비중은 엔지니어링 65.86%, 기간시스템 개발 및 운영 22.10%, 시스템 유지보수 등 8.14%, 전산시스템 서버 등 2.28%, 기타 1.62%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포스코 그룹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진택배와의 메가허브 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스마트 팩토리: 생산현장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 분석하여 인공지능으로 최적 제어하는 시스템 구축
  • Digital Twin Factory: 실제 제조 현장과 연결된 가상 공간에서 시뮬레이션 및 검증 수행
  • 산업용 로봇: 고위험, 고강도 현장에 산업용 로봇을 적용하여 안전하고 생산성 높은 산업현장 구축
  • AI 기술 센터: 인지(Vision Intelligence), 판단(Decision Intelligence), 제어(Control Intelligence) 분야의 AI 엔진 개발

향후 전망

포스코DX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솔루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로봇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스마트 물류시스템을 통해 물류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또한 ESG 경영 실천에 힘을 쏟고 있어, 지속 가능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7. 세방전지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세방전지는 ESS 산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광, 풍력, 스마트그리드 융합용으로 소형(1~3kW)부터 중형(50kW 급) ESS를 개발했으며, 전기차 충전기용(300kW 급) ESS 개발에도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ESS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세방전지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축전지 제조 기업으로, 반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연축전지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지켜왔습니다. "로케트 배터리"라는 대표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6~8위권에 속하는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

  • 차량용 축전지: 전체 매출의 약 80%를 차지하는 주력 사업입니다.
  • 산업용 축전지: UPS용 등 전체 매출의 약 12%를 차지합니다.
  • AGM (Absorbent Glass Mat) 배터리: 차세대 연축전지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에 탑재됩니다.
  • 리튬전지 팩 제조: 이차전지 셀을 공급받아 BMS, 냉각장치 등을 추가한 배터리 모듈을 조립하여 공급합니다.
  • ESS(에너지저장시스템) 개발 및 생산

재무 정보

세방전지는 최근 실적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으며, 주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자동차 제조사: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쌍용자동차, BMW, 폭스바겐
  • 전자 및 통신 기업: 삼성전자, LG전자, KT, SK텔레콤
  • 중공업 기업: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 국가 기관: 대한민국 국방부,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AGM 배터리 개발: 일반 차량용 배터리보다 수명이 3배 길고, 안전성이 높은 고성능 배터리입니다.
  • ESS 기술 개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스마트 그리드 기술: ICT 기반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세방전지는 AGM 배터리의 수요 증가와 ESS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특히 친환경 차량 시장의 확대로 인한 프리미엄 배터리 수요 증가가 기대되며, ESS 사업 부문에서도 성장이 전망됩니다. 또한, 리튬전지 팩 사업 확대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8. 삼화콘덴서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삼화콘덴서는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산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LTO(Lithium Titanate Oxide) 복합 소재를 적용한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를 개발하여 ESS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ESS 시장의 성장과 함께 삼화콘덴서의 관련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ESS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삼화콘덴서는 1956년 8월 14일에 설립된 종합 콘덴서 제조 업체입니다. 전해콘덴서와 페라이트 코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콘덴서를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전장(자동차 전자장치) 분야에서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회사는 중견기업으로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으며, 경기도 용인시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삼화콘덴서의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MLCC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제조
  2. DC-Link 콘덴서 생산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용)
  3. 전력용 콘덴서 (FC) 제조
  4. DCC (Direct Current Capacitor) 생산
  5.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및 생산

재무 정보

2022년 12월 기준으로 삼화콘덴서의 임직원 수는 601명입니다. 구체적인 매출액이나 영업이익 등의 상세한 재무 정보는 제공된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삼화콘덴서의 주요 고객사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된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전 세계 고객사에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삼화콘덴서는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와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LTO 복합 소재를 적용한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2. 하이브리드 Super Capacitor ESS Module 개발 (2015년 7월)
  3. Metal Power Inductor 세계 최초 개발 양산 (2015년 6월)
  4. 친환경차 관련 글로벌 시장 진입 (2014년 8월)
  5. HVDC용 고압 Capacitor 개발 (2014년 8월)
  6. 친환경차용 DC-Link Capacitor 개발 (2013년 12월)

향후 전망

삼화콘덴서는 ESS 시장의 성장과 함께 관련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 및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따라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와 DC-Link 콘덴서 등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회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에너지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는 첨단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9. 삼화전기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삼화전기는 LTO 복합 소재를 적용한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를 개발하여 ESS 수혜주로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전기이중층커패시터(그린캡 Green-Cap)를 하이브리드카의 연비 개선용, 경전철 및 도시철도의 에너지 회생용, 풍력발전의 피치제어시스템, 태양광 인버터 효율 개선용 등으로 활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어 ESS 산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삼화전기는 197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콘덴서 기업으로, 충북 청주시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코스피 상장 기업이며, 중견기업으로 분류됩니다. 2023년 기준 443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66억 원의 자본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삼화전기의 주요 사업은 전해커패시터, Green-Cap, S-CAP 등 콘덴서 및 관련 부품의 제조와 판매입니다. 특히 전해콘덴서, 칩형전해콘덴서, 기능성고분자고체콘덴서, 전기이중충콘덴서 등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재무 정보

2023년 기준 삼화전기의 매출액은 2,024억 5,094만 원, 영업이익은 78억 2,869만 원, 순이익은 58억 7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9월까지의 실적을 보면 매출액 1,781억 원, 영업이익 41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3%, 61.1% 증가했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삼화전기의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있으며, 이들 기업에 가전용 전해콘덴서를 주로 납품해왔습니다. 최근에는 테슬라에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삼화전기는 S-Cap이라는 제품을 개발하여 데이터 센터에서 사용되는 SSD의 데이터 삭제 방지 및 전력 소비 절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Hybrid-Cap이라는 제품을 개발하여 전장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 내 최대 전장 업체와 7년간 5천 6백만불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향후 전망

삼화전기는 고부가가치 시장인 반도체, 전장 부문으로의 신제품 개발 및 전략적 투자를 통해 새로운 시장에 대한 매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전망입니다. 특히 AI 발전과 함께 성장하는 데이터 센터 시장,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른 전장 부품 수요 증가 등이 삼화전기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는 3년 이내에 글로벌 전장 시장의 10% 점유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0. 피엔티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피엔티는 ESS 등 중대형 이차전지의 분리막, 음극재, 양극재 소재 생산에 사용되는 장비를 제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의 기술은 ESS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이며, 이차전지 산업의 성장과 함께 ESS 시장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피엔티는 2003년 12월에 설립된 배터리 장비 전문 회사입니다. 롤투롤(Roll-to-Roll)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기술(IT)용 소재와 2차전지의 음극·분리막 소재,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디스플레이 이용 소재 등을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2년 7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사업

  • 이차전지 핵심 소재 및 장비 생산 (2차전지 사업부)
  • 전지박 등 디스플레이 소재용 소재 생산 (소재 사업부)
  • 롤투롤 컨버팅 기계 제조
  • 자동화 설비 개발 및 생산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약 5,454억원
  • 2023년 영업이익: 약 770억원
  • 2024년 목표 매출: 1조원
  • 2025년 목표 매출: 1조 5천억원
  • 2026년 목표 매출: 2조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LG에너지솔루션
  • SK이노베이션
  • 삼성SDI
  • SK넥실리스
  • 롯데알미늄
  • 중국 EVE
  • 중국 HENGDIAN GROUP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2012년 리튬이온전지 극판용 광폭코터 개발
  • 건식전극공정 기술 개발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건조 필름으로 전극 코팅)
  •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및 양극재 생산 프로젝트
  • 수계 기반 LFP 양극활물질 생산 기술 개발

향후 전망

피엔티는 이차전지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발맞춰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신사업 진출을 통해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LFP 배터리와 양극재 사업, 그리고 건식전극공정 기술 등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여 유럽, 미국, 중국 등 다양한 지역에서의 매출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피엔티는 2차전지 산업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11. 비츠로셀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비츠로셀은 리튬일차전지 전문 기업으로, ESS 산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회사의 배터리 기술은 ESS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특히 스마트미터와 같은 ESS 관련 장비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리튬 직접 추출(DLE) 기술 개발 등 ESS 관련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비츠로셀은 1987년 설립된 국내 최대 리튬일차전지 제조기업입니다. 회사는 리튬일차전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리튬일차전지 제조 및 판매 (Bobbin Type, Wound Type, 고온전지 등)
  • 스마트미터용 배터리 공급
  • ESS 관련 부품 개발 및 생산
  • 리튬 직접 추출(DLE) 기술 개발
  • 실리콘음극재, 초박막 리튬 포일 등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1,762억원
  • 2023년 영업이익: 520억원
  • 2024년 목표 매출액: 2,000억원
  • 2024년 목표 영업이익: 450억원~500억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글로벌 ESS 업체 플루언스
  • 포윈(세계 7위 ESS 업체)
  • 이스라엘 아라드(ARAD)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리튬 직접 추출(DLE) 기술 개발 프로젝트
  • 리튬메탈전지 재활용 기술 개발
  • 실리콘음극재 소재 개발 (SiC 중심)
  • 초박막 리튬 포일 개발 (리튬황 배터리용)

향후 전망

비츠로셀은 기존의 리튬일차전지 사업을 기반으로 ESS 관련 신사업 확대를 통해 성장을 가속화할 전망입니다. 특히 리튬 직접 추출 기술과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을 통해 ESS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는 2025년까지 시가총액 1조원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2. 신성이엔지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신성이엔지는 태양광 사업 부문에서 태양광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과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를 설치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사업의 일환으로 ESS 설치 및 시공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ESS 산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신성이엔지는 1977년 설립된 기업으로, 클린환경 사업과 재생에너지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를 제외한 9개 국가에 해외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1. 클린환경 사업: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의 산업에 필요한 클린룸, 공조시스템, 드라이룸 등을 제조 및 설치합니다.
  2. 재생에너지 사업: 태양광 모듈 생산,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 설치, 인버터 제품 공급, 태양광 발전소 설치 공사와 사후 관리, RE100 솔루션 제공 등을 수행합니다.
  3. 스마트팩토리 사업: 스마트 제조 플랫폼 구축,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최적 운영 기술 기반 구현, 청정 환경 토탈 엔지니어링 공사를 진행합니다.

재무 정보

2023년 기준 매출액은 5,765억 원, 영업이익은 74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1분기에는 매출액 1,330억 원, 영업이익 51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0%, 24.4% 성장했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삼성전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주요 2차 전지 기업들과도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1. 삼성전자 평택 4 공장과 미국 테일러 공장의 클린룸 프로젝트
  2.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의 말레이시아 프로젝트
  3. 안동 임하댐 수상태양광 프로젝트
  4. BIPV(건물일체형 태양광) 솔라스킨 모델 개발
  5. 고효율 N타입 태양광 모듈 생산

향후 전망

신성이엔지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회복과 함께 클린룸 수요 확대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에 따른 드라이룸 수요 증가, RE100 확산과 도심 태양광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BIPV 기술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 진출 확대와 함께 원가 절감 및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13. 유니테크노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유니테크노는 삼성SDI에 ESS 셀 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선정되었습니다. 회사는 ESS 셀 케이스 납품 계약을 체결하여 연간 약 60억 원 규모의 수주를 확보했으며, 향후 4년 이상 납품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회사 개요

유니테크노는 1993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2016년 9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본사는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위치해 있으며, 국내외에 생산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자동차용 배터리 셀 케이스 제조
  •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용 부품 생산
  • 차량의 구동 및 전장품에 사용되는 모터류 부품 제조 및 조립
  • ESS(에너지저장장치) 관련 부품 생산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1,019억 원
  • 2023년 영업이익: 114억 원
  • 2024년 9월 기준 매출액: 777억 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삼성SDI
  • DY오토
  • S&T모티브
  • 델파이파워트레인
  • Behr
  • LG이노텍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배터리 셀 케이스 세계 특허 보유
  • SBW(Shift By Wire) 양산 성공
  • 전기차 배터리 PROTO 수주 확정
  • 수소차 매니폴드(Manifold) 및 각수 유량 조절장치(ITM) 수주

향후 전망

유니테크노는 전장품과 전기차 배터리 부품을 양대 축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25년까지 매출 1,750억 원, 2030년까지 3,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등 글로벌 시장 내 배터리 전문 생산 기반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며,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동반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4. 그리드위즈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 ESS 설치 및 운영 사업을 주요 사업 분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ESS를 다양한 분산에너지 자원과 융합하여 분산형 전력체계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ESS 운영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의 에너지 비용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 2013년 'Heal The Earth'라는 슬로건으로 설립된 에너지 솔루션 기업입니다.
  • 클린에너지 전환 시대를 리드하는 글로벌 에너지 데이터 테크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2024년 1월 기준 임직원 130여 명 규모의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

  • 전력수요관리(DR) 서비스
  • 전기차 충전 인프라(E-Mobility) 사업
  • 에너지 저장 장치(ESS) 사업
  • 태양광(PV) 사업

재무 정보

  • 2023년 기준 매출 1,318억원, 영업이익 1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 2024년 6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전기차 충전기 업체: 채비, 이브이시스, 모던텍 등
  • 1,700여 개 이상의 산업 고객사 보유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국내 최초 VPP(가상발전소) 플랫폼 개발 및 운영 실증 과제 수행
  • 11kW급 및 7kW급 양방향 공용 충전기 개발 및 인증 획득
  • AI 기반 분산·유휴자원 안전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 주관

향후 전망

  •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계획
  • V2G(Vehicle to Grid) 서비스 추진
  • 가상발전소(VPP) 시장 진출 예정
  • ESS와 DR 자원 결합을 통한 VPP 사업 강화 전망

15. 한중엔시에스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한중엔시에스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냉식 냉각 시스템의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SDI의 차세대 ESS 모델인 SBB2에 수냉식 냉각 시스템 공급이 확정되어 ESS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수냉식 냉각 시스템은 기존 공랭식 대비 열관리 효율과 안전성이 우수하여 대용량 ESS 시장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한중엔시에스는 1995년 설립되어 2013년 코넥스 시장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초기에는 자동차 부품 사업을 주력으로 하다가 2021년 12월 ESS 사업으로 주업종을 변경하였습니다. 현재 경북 영천에 3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ESS 관련 기술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ESS 수냉식 냉각 시스템 개발 및 생산
  • 전기차 모듈 부품 생산
  • 자동차 부품 제조 (내연기관 부품 포함, 점진적으로 축소 중)

재무 정보

2023년 기준 매출액은 1,216억원이며, 2024년에는 매출 1,871억원, 영업이익률 7.5%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ESS 부품 매출 비중이 2023년 3분기 기준 약 5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삼성SDI (주요 ESS 고객사)
  • LG에너지솔루션
  • CATL
  • BYD
  • 현대자동차, 기아, 폭스바겐, 포르쉐 (전기차 냉각 플레이트 고객사)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삼성SDI SBB2 (5MWh급 차세대 ESS) 수냉식 냉각 시스템 공급
  • 대용량 수냉식 기술 개발
  • 양방향 유체 흐름 차단이 가능한 냉각 기술 개발
  • ESS 전담 '제2연구소' 설립 계획

향후 전망

한중엔시에스는 글로벌 ESS 시장의 성장과 함께 수냉식 냉각 시스템 수요 증가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미국의 IRA 정책과 FEOC 규정 변경에 따른 시장 기회를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한 ESS 기술 고도화와 전기차 부품 사업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내연기관 부품 사업은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ESS와 전기차 관련 사업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16. SK이터닉스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SK이터닉스는 국내 No.1 ESS 사업자로서 축적된 운영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ESS 사업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20%를 달성하며 선두 자리를 굳히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 ESS 시장에 진출하여 전력 Trading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SK이터닉스는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로, 2024년 3월에 새롭게 출범한 기업입니다. 회사는 '그린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서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구하고 있으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개발과 운영을 넘어 플랫폼을 통한 전력중개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SK이터닉스의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태양광 발전
  2. 풍력 발전 (육상 및 해상)
  3. 에너지저장장치(ESS)
  4. 연료전지
  5. 전력중개 사업

재무 정보

SK이터닉스의 2023년 12월 기준 재무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 1,791억원
  • 영업이익: 125억원
  • 당기순이익: -15억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글렌몬트파트너스: 전력중개사업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
  • 현대건설: 태양광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PPA) 체결
  • 삼성SDI: ESS용 배터리팩 모듈 공급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충주에코파크: 40MW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소 (2025년 상업운전 목표)
  • 대소원에코파크: 40MW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소 (2026년 상업운전 목표)
  • 디지털 O&M 솔루션: 태양광 발전자원 운영 최적화를 위한 기술 개발

향후 전망

SK이터닉스는 전력시장 변화에 맞춰 전력거래 중심의 'No.1 그린에너지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회사는 지속적인 발전자원 확보와 디지털 O&M 솔루션 고도화를 통해 전력중개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VPP(Virtual Power Plant) 사업자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ESS 시장의 급격한 성장세에 힘입어 회사의 ESS 사업 부문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7. 서진시스템

ESS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서진시스템은 ESS(에너지저장장치) 장비 제조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ESS에 필요한 주요 부품과 구동 장비를 공급하며, 글로벌 고객사에 OEM 방식으로 ESS 장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ESS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서진시스템의 ESS 관련 매출도 크게 증가하고 있어 ESS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서진시스템은 1996년에 설립되어 2007년 법인으로 전환하였으며, 2017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경기도 부천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베트남에 대규모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제조원가 절감과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성공 파트너로 성장해왔습니다.

주요 사업

  • ESS 장비 제조: ESS 구성 부품 및 구동 장비 공급
  • 반도체 장비 사업: 웨이퍼 이송 장치 등 반도체 공정 필수 부품 제작
  • 전기차 및 배터리 부품 사업: 배터리 모듈 부품, 인버터, 팩하우징 등 제작
  • 통신 장비 사업: 기지국 장비 및 중계기 제작
  • 산업기계 및 생활가전 사업
  • 중공업 부품 사업

재무 정보

  •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액: 7,875억원
  • 2024년 예상 매출액: 1조3191억원 (전년 대비 69% 증가)
  • 2024년 예상 영업이익: 1425억원 (전년 대비 191% 증가)
  • ESS 사업 부문 매출 목표(2024년): 7000억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ESS 분야: 플루언스에너지, 포윈, 바르질라, 허니웰
  • 반도체 장비: 램리서치
  • 전기차: 테슬라 등 글로벌 전기차 제조사
  • 통신 장비: 삼성전자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수냉식 냉각 솔루션: ESS에 단독으로 공급하여 경쟁력 확보
  • 기가프레스 기술: 테슬라를 포함해 세계에서 유일하게 양산 경험 보유
  • 초대형 다이캐스팅: 9200톤급 및 12000톤급 설비 도입 예정

향후 전망

서진시스템은 ESS 시장의 구조적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매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전기차 및 배터리 부품 사업의 확대, 반도체 장비 부문의 성장, 그리고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한 사업 다각화로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또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정책을 통해 주주 친화적 경영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 글의 내용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단지 참고 자료로 제공됩니다.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높은 위험을 동반할 수 있으니,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은 신중하게 본인의 책임 하에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