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관련주 9가지 완벽 정리, 시장 동향

엔비디아 관련주 9가지 완벽 정리, 시장 동향, Hush

엔비디아 사업 근황

엔비디아, 최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GPU)로 유명한 반도체 거인이 인공지능(AI)과 게이밍 산업에서 일련의 중요한 발표와 제품 출시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30일, 엔비디아는 기대를 모았던 RTX 5090과 RTX 5080 그래픽 카드를 출시하며 새로운 RTX 50 시리즈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각각 1,999달러와 999달러로 책정된 이 카드들은 GDDR7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전 모델에 비해 2배의 성능 향상을 약속합니다. 동부 시간 오전 9시로 예정된 이 출시는 높은 수요가 예상되며, 몇 시간 내에 재고가 소진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새로운 GPU들은 엔비디아의 AI 가속기에도 사용되는 블랙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 기술은 다음 프레임의 모습을 예측하기 위해 AI를 더 광범위하게 활용하여 게임의 현실감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이것이 25년 전 프로그래머블 쉐이딩 도입 이후 컴퓨터 그래픽에서 가장 중요한 혁신을 대표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엔비디아의 주가는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2025년 1월 27일, 회사의 주가는 17% 하락하여 거의 6,000억 달러의 시장 가치가 사라졌습니다. 이 급격한 하락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비용 효율적인 AI 모델 발표로 인한 것이었습니다. 딥시크 R1 모델은 서구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훨씬 낮은 비용으로 달성한다고 보고되어,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칩에 대한 미래 수요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러한 후퇴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는 계속해서 혁신하고 제품 라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25년 2월에 749달러와 549달러로 책정된 RTX 5070 Ti와 RTX 5070을 출시할 계획이며, 더 넓은 범위의 예산에 맞는 고성능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발전 외에도 엔비디아는 보안 문제도 해결했습니다. 1월 중순의 GPU 드라이버 업데이트는 정보 유출, 데이터 변조, 서비스 거부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문제를 포함한 여러 취약점과 악용을 해결했습니다.

앞으로 엔비디아는 AI 개발의 최전선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회사는 물리적 AI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코스모스 월드 파운데이션 모델 플랫폼을 공개했고, RTX AI PC를 위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와 자율주행 차량 개발을 위한 자동차 산업과의 파트너십은 엔비디아가 AI와 그래픽 기술의 경계를 넓히는 데 전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AI 경쟁이 특히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치열해지면서 엔비디아의 고급 AI 프로세서 제공 역할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최근 사건들로 인해 일부 불확실성이 생겼지만, 많은 분석가들은 고성능 GPU가 계속해서 고급 인공지능 시스템을 만들고 운영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으며, 현재의 주가 변동성이 투자자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기업명 엔비디아 관련주 선정 이유
SK하이닉스 - 엔비디아의 최고급 AI 프로세서 칩을 위한 최신 고대역폭 메모리(HBM) 주요 공급업체
- HBM은 AI 반도체 설계에 필수적인 부품이며,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
이수페타시스 - 엔비디아를 고객사로 유치
- 고성능 인쇄회로기판(PCB)을 공급하며 엔비디아의 AI 가속기 및 고성능 컴퓨팅 제품에 필수적인 부품 제공
제이씨현시스템 - 엔비디아의 국내 공식 파트너사
- 엔비디아의 GPU가 탑재된 그래픽카드 판매
- 엔비디아 제품의 국내 유통 담당
세코닉스 - 엔비디아와 자율주행 카메라 개발 추진 이력
- 2018년 엔비디아가 제조한 자율주행차용 보드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 샘플 납품
MDS테크 - 엔비디아와 2018년 6월 AI 솔루션 통합 공급 파트너십 체결
- 국내 AI 모듈 총판
- 엔비디아의 프리퍼드 파트너사로서 AI 트레이닝을 위한 데이터 센터 구축부터 AI 엣지 디바이스 개발까지 원스톱으로 제공
윈팩 - SK하이닉스의 협력사로서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 제품을 공급하는 역할
-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HBM을 양산 공급하면서 윈팩이 그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 차지
씨이랩 - 엔비디아의 국내 유일 소프트웨어 파트너사
- 딥러닝 솔루션인 'Uyuni(우유니)'를 엔비디아 GPU에 적용하여 판매
- 2020년 국내 소프트웨어 회사 최초로 엔비디아 우수파트너로 선정
콤텍시스템 - 엔비디아의 투자사인 바스트데이터(VAST Data)와 한국 독점 및 아시아 총판 계약 체결
- 바스트데이터는 AI·클라우드 스토리지 전문기업으로, 엔비디아와 2016년부터 협력 관계 유지
아이티아이즈 - 엔비디아 GPU를 활용하여 AI 및 빅데이터 사업에 적극 참여
- 특히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기술 개발에 주목

1. SK하이닉스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최고급 AI 프로세서 칩을 위한 최신 고대역폭 메모리(HBM)의 주요 공급업체입니다. HBM은 AI 반도체 설계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하고 있어 엔비디아의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회사 개요

SK하이닉스는 198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종합 반도체 기업입니다.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시스템 반도체 등을 생산하며, 세계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해 있습니다.

주요 사업

  • 메모리 반도체: DRAM, NAND Flash, MCP(Multi-Chip Package) 등
  • 시스템 반도체: CIS(CMOS Image Sensor) 등
  • 고대역폭 메모리(HBM) 생산

재무 정보

2024년 예상 실적:

  • 매출액: 97조원 (전년 대비 45% 증가)
  • 영업이익: 45조 4000억원
  • 영업이익률: 최대 46.8% 예상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엔비디아: HBM 주요 공급처
  • TSMC: HBM4 개발을 위한 파운드리 파트너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HBM4 개발: 2026년 하반기 출시 예정
  • 3D 낸드플래시 기술
  • CIS(CMOS Image Sensor) 개발

향후 전망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HBM 사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HBM 매출이 전년 대비 10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고객 기반도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차세대 메모리 기술 개발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시가총액 측면에서도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좁히며 성장이 기대됩니다.

2. 이수페타시스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이수페타시스는 엔비디아를 고객사로 유치하는 데 성공하며 엔비디아 관련주에 포함되었습니다. 특히 고성능 인쇄회로기판(PCB)을 공급하며 엔비디아의 AI 가속기 및 고성능 컴퓨팅 제품에 필수적인 부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이수페타시스는 1972년에 설립되어 1989년부터 PCB를 전문적으로 공급해온 기업입니다. 1995년 이수그룹의 가족사로 편입된 후, 연구개발과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경쟁력을 강화해왔습니다. 본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해 있으며, 2023년 기준 1,108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이수페타시스의 주력 사업은 고품질 MLB PCB(고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입니다. 특히 통신장비, 서버/스토리지, 우주항공, 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초고다층 PCB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18층 이상의 초고다층 PCB 시장에서 글로벌 3위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재무 정보

2022년 기준 매출액은 4,9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78% 성장했습니다. 영업이익은 9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2023년에는 매출액이 6,753억 원으로 더욱 성장했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이수페타시스의 주요 고객사로는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있습니다. 또한 노키아, 시스코시스템스, 주니퍼네트웍스, 아리스타 등 글로벌 통신장비업체들도 주요 고객입니다.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이수페타시스는 Signal Integrity와 Impedance Analysis 및 Control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주파 네트워크 보드, 통신용 장비, 고속 데이터 처리용 슈퍼 컴퓨터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Lead-free 대응이 가능한 High Performance 자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AI와 네트워크 관련 기판 시장의 호황이 예상되며, 이수페타시스는 이를 통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AI 가속기 및 800G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수주 추세가 강화되고 있어, 향후 실적 개선이 전망됩니다. 또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와의 협력을 통해 AI와 네트워크 PCB용 초극저조도 동박 개발 및 공급에도 주력할 예정입니다.

3. 제이씨현시스템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제이씨현시스템은 엔비디아의 국내 공식 파트너사로, 엔비디아의 GPU가 탑재된 그래픽카드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제품의 국내 유통을 담당하며, 특히 게이밍 및 AI 관련 GPU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어 엔비디아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제이씨현시스템은 1991년 5월 설립되어 1997년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IT 제품 공급 전문기업입니다. 40여 년의 IT 마케팅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통합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유통: PC 부품, 그래픽카드, 모니터 등
  • 네트워크 장비 판매
  • 드론 솔루션 사업: 드론 기체, 관제 솔루션, 매핑 소프트웨어 공급
  • VR 제품 개발 및 판매
  • 통합배선솔루션 제공

재무 정보

2023년 기준:

  • 자산총계: 1,238억 8,900만원
  • 매출액: 1,657억 9,595만원
  • 영업이익: -59억 2,185만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엔비디아(NVIDIA): GPU 공급 파트너십
  • 기가바이트(GIGABYTE):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공급
  • 콤스코프(Comscope): 통합배선솔루션 파트너
  • Parrot: 드론 공식 수입 유통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DroneRTS: 자체 개발한 드론 실시간 영상 관제 솔루션
  • DroneFLY: 드론 비행 공역 정보 제공 앱
  • UDEA: 자체 모니터 브랜드
  • 유디아 클린박스: UV 살균 모니터 받침대 개발

향후 전망

제이씨현시스템은 AI와 빅데이터 분석 수요 증가에 따른 GPU 시장 확대로 성장이 기대됩니다. 특히 4조원 규모의 국가컴퓨팅센터 구축 프로젝트와 같은 대형 사업에서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드론 및 VR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사업 부문에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있습니다. 다만, 경쟁 심화와 기술 변화에 따른 위험 요소도 존재하므로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시장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4. 세코닉스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세코닉스는 엔비디아와 자율주행 카메라 개발을 추진한 이력이 있습니다. 2018년에는 엔비디아가 제조한 자율주행차용 보드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 샘플을 납품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 관계로 인해 국내 엔비디아 관련 주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세코닉스는 1988년 12월 24일에 설립되어 2001년 8월 9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광학부품 전문기업입니다. 경기도 동두천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박은경 대표이사가 경영을 맡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세코닉스의 주요 사업은 크게 광학부문과 필름부문으로 나뉩니다:

  • 스마트폰용 카메라 렌즈
  • 차량용 카메라 렌즈 및 모듈
  • 피코 프로젝터 모듈
  • 차량용 램프
  • Optical Film 제조

재무 정보

2023년 기준 세코닉스의 주요 재무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 5,024억원 (전년 대비 4.7% 증가)
  • 영업이익: 162억원 (전년 대비 162.5% 증가)
  • 당기순이익: 114억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삼성전자 (스마트폰 렌즈 공급)
  • 현대모비스 (차량용 카메라 공급)
  • 엔비디아 (자율주행 카메라 개발 협력)
  • 리막 (유럽 전기차 업체, 카메라 렌즈 공급 협상)
  • 콘티넨탈 (자동차 부품기업, 카메라 렌즈 납품 협상 중)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자율주행차용 카메라 모듈 개발
  • 고화소 휴대폰 렌즈 기술
  • 차량용 헤드업디스플레이(HUD) 시스템 개발
  • AR/VR 관련 투사모듈 및 접안렌즈 기술
  • '글라스 일체형 온도센서' 개발 (볼트크리에이션과 공동)

향후 전망

세코닉스는 자율주행 및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차량용 카메라 수요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AR/VR 시장의 확대에 따른 관련 광학 부품 수요 증가도 예상됩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자동차 산업의 위축으로 인해 전장 부품 사업의 성장이 다소 주춤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회사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 MDS테크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MDS테크는 엔비디아와 2018년 6월 AI 솔루션 통합 공급 파트너십을 체결하였습니다. 현재 국내 AI 모듈 총판을 맡고 있으며, 엔비디아의 프리퍼드 파트너사로서 AI 트레이닝을 위한 데이터 센터 구축부터 AI 엣지 디바이스 개발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엔드투엔드 AI 플랫폼 프로바이더입니다.

회사 개요

MDS테크는 1994년 설립된 임베디드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각종 솔루션을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해 있으며, 2006년 9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사업

  •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솔루션 (22.0%)
  • 임베디드 S/W 솔루션 (38.7%)
  • 산업자동화 솔루션 (19.6%)
  • AI, IoT, 빅데이터 솔루션
  • 자율주행 및 ADAS 개발 솔루션
  • 열화상 카메라 기반 영상 처리 기술

재무 정보

  •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 1,535억원
  • 2022년 연결기준 영업이익: 81억원 (추정)
  • 평균 근속연수: 5.2년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ARM, 그린 힐스, 텔레다인 플리어
  • 현대차, 현대모비스, 현대오토에버, 삼성전자, LG전자, 보쉬, 콘티넨탈 등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엔비디아 DGX 시스템 및 데이터센터용 GPU 공급
  • 윈도우 IoT 공식 총판
  • 모빌진(현대자동차 표준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국내 총판
  • 열화상 카메라 기반 영상 처리 기술 자체 개발

향후 전망

MDS테크는 AI 중심의 임베디드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IoT, 공장자동화, 빅데이터, AI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신 기술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AI 관련 사업 확장이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6. 윈팩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윈팩은 SK하이닉스의 협력사로서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 제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HBM을 양산 공급하면서 윈팩이 그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어 엔비디아 관련주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회사 개요

윈팩은 2002년 4월에 설립된 반도체 후공정 전문 기업입니다. 주로 반도체 패키징과 테스트 분야에서 외주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해 있으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주요 사업

  • 반도체 패키징: POP(Package on Package), eMMC, 플립칩 등 다양한 패키징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테스트: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OSAT(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사업: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후공정에 해당하는 패키징과 테스트를 일괄적으로 수주하여 처리합니다.

재무 정보

  • 2023년 기준 매출액: 862억 원
  • 2023년 영업이익: -229억 원
  • 자본금: 297억 9천만 원 (2024년 기준)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SK하이닉스: 주요 고객사로,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 삼성전자: 패키징 및 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제주반도체, 어보브반도체 등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HBM(High Bandwidth Memory) 관련 패키징 기술
  • 시스템 반도체 분야로의 사업 확장
  • MUF(Molded Underfill) 공정 시설 확충

향후 전망

윈팩은 반도체 업황 회복과 함께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HBM 수요 증가와 함께 D램 수요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어 하반기부터는 적자폭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시스템 반도체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어, 향후 성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7. 씨이랩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씨이랩은 엔비디아의 국내 유일 소프트웨어 파트너사입니다. 딥러닝 솔루션인 'Uyuni(우유니)'를 엔비디아 GPU에 적용하여 판매하고 있어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2020년에는 국내 소프트웨어 회사 최초로 엔비디아 우수파트너로 선정되었습니다.

회사 개요

씨이랩은 2010년 7월에 설립된 AI 영상분석 전문기업입니다. 대용량 영상데이터에 AI 기술을 적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기반(Data-Centric) AI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서울 강남구 언주로 617에 위치해 있으며, 대표이사는 이우영입니다.

주요 사업

  • GPU 인프라 관리 솔루션 (Astrago)
  • AI 영상분석 솔루션 (XAIVA, Vidigo)
  • 디지털 트윈
  • 합성데이터 솔루션 (X-GEN)
  • GPU 자원 임대
  • AI 기반 데이터 가공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액: 36억 6,343만 원
  • 2023년 영업이익: -69억 1,077만 원
  • 2023년 순이익: -64억 5,912만 원
  • 시가총액: 약 653억 원 (2024년 10월 기준)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엔비디아 (NVIDIA)
  • 에즈웰플러스
  • 와이즈넛
  • HPE (Hewlett Packard Enterprise)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Uyuni (GPU 자원관리 시스템)
  • X-AIVA (실시간 영상분석 플랫폼)
  • Vidigo (클라우드 기반 AI 영상분석 서비스)
  • X-GEN (합성데이터 생성 솔루션)
  • X-Labeller (영상 AI 모델링 솔루션)

향후 전망

씨이랩은 AI 및 GPU 시장의 성장과 함께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GPU 활용 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AI 영상분석, 디지털 트윈, 합성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클라우드 AI GPU 수요의 고성장에 따라 씨이랩의 어플라이언스 사업도 동반 성장이 기대됩니다.

8. 콤텍시스템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콤텍시스템은 엔비디아의 투자사인 바스트데이터(VAST Data)와 한국 독점 및 아시아 총판 계약을 체결하여 엔비디아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바스트데이터는 AI·클라우드 스토리지 전문기업으로, 엔비디아와 2016년부터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관성으로 인해 콤텍시스템은 엔비디아의 성장에 따른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콤텍시스템은 1983년 9월 1일에 설립된 IT 서비스 및 솔루션 제공 기업입니다. 주로 금융권 네트워크 통합 및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통합(NI) 전문기업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클라우드 인프라 및 데이터센터 구축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아이티센의 자회사이며,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주요 사업

  • 네트워크 통합(NI) 서비스
  • 클라우드 인프라 및 데이터센터 구축
  • 시스템 통합(SI) 서비스
  • 비대면 솔루션 구축 (원격회의, 스마트오피스 등)
  • AI 및 빅데이터 관련 솔루션 제공
  • 보안 솔루션 제공

재무 정보

  • 2023년 매출: 8,926억 원
  • 2023년 영업이익: 169억 원
  • 2024년 1분기 매출(연결 기준): 약 1,723억 원
  • 2024년 1분기 영업손실(연결 기준): 약 13억 원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파트너: AWS(아마존 웹서비스), Cisco, VMware, 레드햇, VAST Data
  • 고객사: 금융기관, 공공기관, 대기업, 제조업체 등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프라이빗 AI 어시스턴트(Private AI Assistant) 개발
  • 클라우드 네이티브 솔루션 제공
  • 네트워크 가상화 구축
  • 스마트워크플레이스 솔루션 구축

향후 전망

콤텍시스템은 AI 및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에 따라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됩니다. 특히 AI 관련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이 분야에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또한, 금융 및 공공 부문에서의 강점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IT 산업의 빠른 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서비스 개선이 필요할 것입니다.

9. 아이티아이즈

엔비디아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

아이티아이즈는 엔비디아 GPU를 활용하여 AI 및 빅데이터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기술 개발에 주목받고 있어 엔비디아 테마주로 분류되었습니다. 엔비디아의 기술을 통해 사업의 범위와 깊이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회사 개요

아이티아이즈는 2012년 8월 7일에 설립된 금융 IT 컴플라이언스 및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플랫폼 전문 기업입니다. 20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금융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한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 금융 IT 솔루션: 신용평가, 자산운영, 리스크 관리, 장외 파생상품 관리 솔루션 제공
  • AI·빅데이터 솔루션: 시장예측시스템, 심사시스템, 예산관리시스템 개발
  • 클라우드 플랫폼: AI/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GURMWI(구름위), 디지털 헬스케어, 클라우드 매니지먼트 서비스
  • 토큰증권(STO) 플랫폼: FASTO-CS를 통한 토큰증권 발행 플랫폼 제공

재무 정보

2023년 기준 매출액은 749억 원이며, 매출 구성은 FINANCE CORE SOLUTION 85.5%, SW/HW SOLUTION 9.5%, MSP 서비스 5.0%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요 파트너 및 고객사

  • 파트너: 엔비디아, 오라클, IBM, FIS, KT,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 고객사: KDB 산업은행, KB 금융그룹, 신한금융그룹, 하나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 DGB 금융그룹 등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 GENAI(제나이) 시리즈: 오픈소스 경량 거대언어모델(sLLM) 기반 AI 솔루션
  • FASTO-CS: 토큰증권 발행플랫폼
  • 의료 마이데이터 플랫폼: 의료 데이터 표준화 및 API 제공

향후 전망

아이티아이즈는 2025년 매출 5,000억 원 달성, 기업가치 1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금융 솔루션 사업을 기반으로 의료 데이터 사업과 STO 플랫폼 등 신사업 분야에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또한, AI 기술을 활용한 토털 AI 솔루션 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어,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AI 혁신을 선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 글의 내용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단지 참고 자료로 제공됩니다.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높은 위험을 동반할 수 있으니,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은 신중하게 본인의 책임 하에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